워드프레스 블로그를 세팅 후 반드시 각 검색엔진에 내 블로그를 등록을 해야됩니다. 워드프레스 블로그 검색엔진 등록 방법이 정말 잘 정리된 워플 이삭님의 포스팅들이 있어서 소개해봅니다. 이 4개 글 보면서 따라하면 정말 편합니다. 저는 유튜브 보면서 따라했던 경험이 있는데 역시 블로그 보면서 따라하는게 더 편하네요.
1_블로그 검색엔진 등록 필요성
블로그를 처음 열고 세팅을 한 뒤에는 주요 포털사이트 등의 검색엔진에 우리의 블로그를 등록해야 됩니다. 안그래도 들어오는 방문자수가 적은데 등록을 하지 않으면 검색으로 유입이 안되는 것 같더라구요.
제 생각에는 검색 엔진에 등록을 하면 이 검색엔진이 블로그의 내용을 색인을 하여 다른 사람이 찾을 수 있게 하는 개념으로 보입니다. 그냥 있으면 진짜 그냥 나혼자 블로그 되는 것 같습니다.
물론 검색엔진에 등록을 해도 잘 들어오지 않습니다. 워드프레스 블로그는 어쩔 수 없는 것 같아요. 결론적으로 사람들이 많이 찾는 글을 많이 써야 되는 것 같습니다.
주요 포털사이트는 웹마스터도구 등으로 검색엔진을 등록할 수 있습니다. 구글, 네이버, 다음, 빙, 줌 등이 있습니다. 실제로 많은 워드프레스 블로그 유튜버 들의 초기 세팅 단골 영상으로 올라오고 있습니다. 저도 여러 영상 많이 봤던 것 같습니다. 각 웹사이트하고 가이드 공유 링크는 아래 계속 넣어보겠습니다.
2_검색엔진 별 접속 주소, 경험담
검색엔진별 웹마스터도구, 서치어드바이저 등 검색엔진 등록 웹사이트가 있습니다. 이런 웹사이트에서는 내 사이트 상태나 접속횟수 등 유지관리에 도움이 되는 내용들을 통계적으로 보여줍니다. 저는 보통 구글의 서치콘솔에 자주 접속하는 편입니다.
가_구글 서치콘솔_바로가기
저는 구글 서치콘솔을 자주 로그인 해서 많이 사용하는 것 같아요. 오피셜은 아니고 저의 경험을 말해보면 티스토리 블로그를 서치콘솔에 등록을 했었습니다. 처음에는 색인등록이 잘 안되서 글마다 제가 서치콘솔에 색인 요청을 했었습니다. 나중에 글도 늘어나고 방문자도 생기니 바로는 아니지만 저절로 등록이 되기도 하더라구요.
그리고 저의 느낌적인 느낌 같은데 서치콘솔에 등록을 되어야 더 괜찮은 광고가 붙는 것 같습니다.
아래는 저의 워드프레스 1 블로그 서치콘솔 화면입니다. 들쭉날쭉 검색이 되긴 하나봅니다. 서치콘솔은 이렇게 검색 현황도 알 수 있습니다.
워드프레스 블로그는 플러그인이 편리한 것이 많은데 구글 사이트킷을 설치해두면 서치콘솔에 하나하나 등록하지 않아도 잘 등록이 됩니다.
아래는 지금 이 부스멜 블로그 서치콘솔 화면입니다. 역시 글이 별로 없어서 그런지 처참한 실적입니다. 흑흑 글 등록 방법은 URL 검사를 누르거나 윗쪽 검색창에 글 주소를 넣어주면 됩니다.
글 하나를 골라서 검사를 해봅니다. 부업생활의 첫번째 글이었던 블로그 부업이야기 글입니다.
따로 등록을 하지는 않았지만 사이트킷이 설치되어 있고 시간이 조금 지나니깐 아래처럼 등록이 되어 있다고 나옵니다.
이번에는 비교적 최근에 올린 5000년의 부 후기 글을 넣고 URL검사를 했는데 구글에 등록이 되어 있지 않다고 합니다. 이럴 때는 오른쪽 노란색으로 표시해 놓은 색인 생성 요청을 눌러줍니다.
색인 생성 요청을 누르면 아래와 같이 URL 색인 생성 테스트가 진행되고 요청이 됩니다. 생성을 할 수 없다는 메시지가 뜰수도 있는데 이유는 잘 모르겠지만 시간이 좀 지나면 해결이 됩니다. (잠시 다른거 하거나 뭐 몇시간 지나면 잘 됩니다. 새벽에 안되면 회사 갔다와서 다시 해보면 됩니다.)
요청이 되어도 바로 등록이 안될수도 있고 될수도 있습니다. 이건 왜그러는지 역시 모르겠네요. 저의 입장에서는 등록 해주면 고마우니 잘 기다려 봅니다.
요청을 하고 나면 이렇게 색인 생성 요청됨으로 바뀝니다. 이후로 시간이 지나면 나중에 다시 검색해보면 등록이 되어 있음으로 나옵니다.
나_네이버 서치어드바이저_바로가기
네이버도 대형 포털답게 서치어드바이저라는 이름으로 있습니다. 네이버는 자체 블로그 생태계가 잘 되어 있어서 다른 블로그가 검색창에 나오기 힘들지만 해두면 좋습니다. 티스토리나 워드프레스 블로그의 외부유입은 대부분 네이버에서 오더라구요.
다_다음 웹마스터 도구_바로가기
다음 웹마스터 도구도 반드시 등록을 해야됩니다. 네이버 보다는 좀 점유율이 떨어지지만 꾸준하게 검색이 일어납니다.
엇 지금보니깐 다음 검색등록이라는 것도 있네요. 조만간 한번 해봐야겠습니다.
라_빙 웹마스터 도구_바로가기
마이크로소프트 빙 웹마스터 도구입니다. 대부분 하는 역할과 비슷합니다.
전에는 줌(ZUM)검색도 등록을 했던 것 같은데 새로 해보려니 네이버 블로그만 가능하다고 써있네요. 뭔가 바뀐 것 같네요.
3_Wplaybook 검색엔진 등록 가이드 링크
이번 포스팅의 제일 중요한 부분입니다. 제가 이 블로그를 꾸밀 때 도움을 많이 받은 Wplaybook의 이삭님께서 각 웹마스터 도구 등록법을 아주 잘 정리해 주셔서 공유해봅니다. 이런 건 블로그를 보면서 따라하는 것이 더 쉬운 것 같습니다. 영상을 보면 보다가 중지 보다가 중지 이래야 되는데 블로그는 정지되어 있어서 더 편한 것 같아요. (경험담)
잘 보면서 하나하나 따라하면 좋을 것 같습니다.
가. 구글 서치콘솔 등록 가이드 : https://wplaybook.com/how-to-register-on-google-search/
나. 네이버 서치어드바이저 등록 가이드 : https://wplaybook.com/how-to-register-blog-on-naver-webmaster-tools/
다. 다음 웹마스터 도구 등록 가이드 : https://wplaybook.com/how-to-register-site-on-daum/
라. 빙 웹마스터 도구 등록 가이드 : https://wplaybook.com/how-to-register-blog-on-bing-webmaster-tools/
이번 포스팅은 워드프레스 블로그를 검색엔진에 등록하는 방법에 대해 써봤습니다. 잘 정리된 이삭님의 글을 공유해 봤는데요. 저의 경험담도 적어보려고 노력했습니다. 초기에는 이런거 하느라 시간이 좀 소요되고 그러는 것 같아요. 막상 등록을 해도 검색이 잘 되는지도 모르겠지만 하나하나 퀘스트 깨듯이 해나가 봅니다. 긴 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 링크_Wplaybook 블로그_바로가기
Wplaybook 블로그에는 워드프레스 블로그에 대해 많은 정보가 있습니다. 방문해서 정보를 얻어보세요~^^
※ 이전 글 링크_부업생활_블로그 부업 이야기(애드포스트, 애드센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