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성남시에서 진행중인 성남시 저출산 극복 콘텐츠 공모전을 공유합니다.
제가 아침에 출근하는데 길에 여기저기 현수막이 걸려 있더라구요.
저는 처음 본 거 같은데 올해가 처음이 아니더라구요.
작년에도 같은 공모전을 열었고 시상도 했었네요.
저출산에 대한 인식 개선을 위해 다양한 아이디어를 발굴을 위해 공모전을 개최한다고 하니 관심 있는 분들은 꼭 참여하시면 좋겠습니다.
공모전 공고문의 내용을 발췌해봤으니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1_저출산 극복 콘텐츠 공모전 개요
- 공모명 : 2024 성남시 저출산 극복 콘텐츠 공모전
- 공고기간 : 2024년 7월 1일 (월) ~ 8월 9일 (금)
- 접수기간 : 2024년 7월 1일 (월) ~ 8월 9일 (금) 18:00까지, 6주간
- 응모자격 : 성남시민, 성남시 소재 재학생 및 직장인 누구나
- 주관 : 성남시청 복지국 여성가족과
- 공모주제 : 인구정책(저출산 고령사회 대응)에 대한 자유로운 주제
- 응모방법 : 이메일 smile999@korea.kr, 우편 (등기만 가능), 방문 접수
- 제출서류 : 신청서, 개인정보 동의서, 공모작품
아래는 작품형식(분야)와 주제가 한번에 정리된 표입니다. (워프의 표는 예쁘게 올라가지를 않네요 ㅠ)
작 품 형 식 / 분 야 | 공모주제 관련 내용(안), 예시 |
1_영 상 2_웹 툰 3_그 림 4_슬로건 5_손편지 | – 저출산, 고령사회의 심각성을 알릴 수 있는 내용 – 결혼과 출산을 장려하고 긍정적인 인식을 심어줄 수 있는 내용 – 아이는 행복, 가족의 소중함을 일깨워 주는 내용 – 다자녀 가정의 행복을 알릴 수 있는 내용 – 일, 가정 양립, “함께육아, 행복육아”를 실천하는 내용 – 기타 저출산 관련 다양한 자유 주제 – (손편지) 엄마아빠에게 자녀가 쓰는 사랑과 감사의 손편지 (영유아, 청소년 대상) |
요즘 유튜브 쇼츠, 틱톡, 네이버 클립 등 짧은 영상이 많이 유행하는데 잘 만드시는 분들은 영상 분야로 도전해보면 좋을 것 같아요. 각 분야별로 시상을 하는데 영상분야가 금액이 제일 큽니다. 아마 경쟁도 제일 크지 않을까 싶어요.
2_저출산 극복 콘텐츠 공모전 작품형식, 응모방법
다음은 작품형식입니다. 영상, 웹툰, 그림, 슬로건, 손편지로 5가지 형식이 있고 각각 형식 및 규격과 제출 방법이 적혀있습니다. 영상, 웹툰, 슬로건은 파일 제출, 그림과 손편지는 원본을 방문 또는 우편으로 제출하면 됩니다.
분 야 | 형식/작품규격/제출방법 등 |
영 상 | – 자유형식(광고, 에니메이션, 다큐, 뮤직비디오 등) – 30초 이상 2분 이내 분량 – 해상도 : 1,920×1,080 픽셀 이상, 24fps 이상 – MP4, AVI 중 택 1 (파일 제출) |
웹 툰 | – 8컷 이내의 완결본 만화 형식 – 해상도 : 가로 최대 700픽셀 이상 – JPEG, JPG, PNG 중 택 1 (파일 제출) |
그 림 | – 8절(272mm x 394mm), 색채도구 자유 – 작품원본 제출(방문 or 우편 접수) |
슬로건 | – 20자 이내 – 한글, PDF 등 (파일 제출) |
손편지 | – 엄마아빠에게 쓰는 손편지 – 펜, 붓, 물감 등 재료 자유, 자필 작성 – 손편지 원본 제출 (방문 or 우편 접수) – A4크기 편지지 기준 2장 이내 ※ 작품 분량이 현저히 초과되거나 미달된 작품 또는 편지글 형식이 아닌 작품은 제외 |
파일로 제출 할 때 파일명은 분야_응모자명_작품명 입니다.
☆ 공모전 응모방법
- 1인 분야별 2건 이내 공모 접수 가능
- 제출서류
- 신청서 (작품 설명서 포함) 1부
- 개인정보 제공 및 수집, 이용 동의서 1부
- 공모작품 (원본 또는 파일) 1부
- 제출 서류 양식은 성남시 홈페이지에서 다운로드
- 접수방법 : 전자우편, 우편(등기만 가능), 방문 접수
- 이메일 주소 : smile999@korea.kr
- 우편/방문 접수 : 성남시 중원구 성남대로 997, 성남시청 동관 6층 여성가족과 저출산대책팀 앞 (우편번호 13594)
- ※ 우편은 접수 마감일 소인분까지, 이메일은 접수 마감일 18:00 도착분에 한해 유효
제출 서류 양식은 공고문과 함께 한글 파일로 업로드 되어 있었습니다. 글 하단에 PDF로 올려보겠습니다.
3_심사 및 결과 발표
이번엔 콘텐츠 공모전 심사기준입니다. 총점 100점이고 상징성, 작품성, 창의성, 활용도로 각 항목별 배점은 25점 입니다. 평가기준에 맞춰 작품을 구성해야겠네요.
심사항목 | 평가기준 | 배 점 |
총 점 | 100점 | |
상징성 | 공모주제에 대한 적합한 표현, 공감대 형성 | 25점 |
작품성 | 작품 구성의 예술성 및 질적 완성도 | 25점 |
창의성 | 아이디어 및 표현방식의 참신성, 타 작품과의 차별성 | 25점 |
활용도 | 작품의 활용성 및 효과성 등 | 25점 |
결과 발표는 2024년 9월 중 예정으로 홈페이지 게시 및 선정자 개별통지 한다고 적혀있네요.
4_공모전 시상내역
공모전에서 제일 중요한 시상내역입니다. 우수 제안자에게 성남시장상 및 상금을 시상하는데 총 40건, 총 상금 1,530만원 이라고 합니다. 상장은 노력상은 제외하고 30건에게 수여를 하네요.
선정구분 | 최우수상 | 우수상 | 장려상 | 노력상 |
영상 | 1건/300만원 | 2건/100만원 | 3건/50만원 | – |
웹툰 | 1건/100만원 | 2건/50만원 | 3건/20만원 | – |
그림 | 1건/100만원 | 2건/50만원 | 3건/10만원 | 5건/5만원 |
슬로건 | 1건/100만원 | 2건/50만원 | 3건/10만원 | – |
손편지 | 1건/50만원 | 2건/15만원 | 3건/10만원 | 5건/5만원 |
시상은 공모작품 전시회 시 상장 수여 및 상금(성남사랑상품권)을 지급한다고 합니다. 그리고 시상내역과 함께 아래와 같이 주의사항이 적혀 있었습니다.
※ 접수된 아이디어(작품) 중 적합한 수상작이 없을 경우, 시상 내역이 조정될 수 있음
※ 동일인이 여러건 제출 시 분야별 상위 등급 1건에 대해서만 시상
※ 노력상은 상장 수여 없음
생각보다 시상이 화려한 것 같습니다. 영상콘텐츠의 경우 최우수상은 300만원이에요. 요즘 젊은 분들 영상 만드는 것을 잘하시더라구요. 도전해서 입상을 하면 취업에도 도움이 될 것 같고 취업자금 확보에도 많은 도움이 될거 같습니다. 저도 영상 좀 잘 다뤄봤으면 좋겠네요. (ㅠ)
5_마치며
저출산 문제는 참 쉽지 않은 것 같아요. 결혼도 힘든데 아이 낳아서 키우기 힘들다는 의견도 많은 것 같습니다. 사회적으로 나서서 다같이 해결해야될 것 같은데 정말 해결이 쉽지 않을 것 같아요. 인구가 줄어든 다는 것은 제가 국딩 때도 교과서에 나왔던 문제였습니다. 30년이 지나도록 해결이 어려운 문제네요.
하 근데 30년이 지났는데도 해결을 못하면 어떻게 답은 있는 건지도 궁금하네요.
최근 몇 년간 성남시에서 아주 재미있는 행사를 많이 하는데 저출산 콘텐츠 공모도 그런데 솔로몬의 선택이라는 이벤트도 흥미로운 것 같습니다. 혹자는 웃음으로 넘길 수 있는 이런 행사를 진행하고 결과를 내는 것을 보면 사회적인 문제점에 대해서 만회를 하려고 다방면으로 노력을 하고 있는 것 같다고 생각되네요.

아주 어릴 때와 군대 빼고는 성남에 40년 가까이 살고 있는 것 같은데 점점 갈수록 좋은 노력이 보이는 것 같습니다. 물론 아직도 멀었다고 생각됩니다만 제가 어릴 때나 학창시절보다 성남은 근 몇년간 훨씬 좋아지는 것 같아요. (다른지역도 다 그렇겠죠?^^)
이러한 콘텐츠 공모전으로 부터 나온 아이디어를 통해 저출산 극복에 대해 인식이 개선되어 적정한 인구수를 유지하는데 도움이 되고 우리나라가 더 건강한 나라가 될 수 있기를 기원합니다.
지금까지 2024 성남시 저출산 극복 콘텐츠 공모전 정보 공유 였습니다.
긴 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다음에는 더 재미있는 글 가져와야겠네요. ㅎㅎ
☆ 링크_성남시청 저출산 극복 콘텐츠 공모전 공고 바로가기
※ 공모전 참가를 하신다면 반드시 공고 페이지에서 내용을 확인 하신 뒤 참가하시기 바랍니다.
☆ 2024 성남시 저출산 극복 콘텐츠 공모전 공고문 및 신청서 양식 PDF파일
※ 위 PDF파일은 한글 파일이 업로드가 안되어서 PDF로 변환한 파일입니다. 링크의 공고 페이지로 가셔서 직접 한글 파일을 받아보시는 것을 추천합니다.
☆ 링크_성남시청 홈페이지 새소식_저출산 극복 콘텐츠 공모전
☆ 이전 글 링크_성남시 아동수당 포인트 사용 총정리(24년 최신)